민방위 연차 조회와 민방위 훈련일자 확인 방법!
대한민국 남자라면 국방의 의무를 지고 군대를 다녀온 분들이 대부분일거에요.
꽃피는 봄이 오면 예비군 훈련과 함께 민방위 교육도 같이 나오게 됩니다.
민방위 훈련은 1년에 1번씩 받고 연차에 따라 4시간이나 1시간짜리 소집훈련을 받게 됩니다.
오늘은 민방위 연차 조회와 민방위 훈련일자 확인 방법을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군대 면제를 받는 분들은 다음해부터 민방위 훈련을 바로 받게 되고,
군대 전역 한 사람은 다음해부터 예비군 1년차가 됩니다.
민방위 연차 조회 방법은 가정으로 오는 비상소집통지서,주민센터,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직접 본인이 계산을 해도 됩니다.
전역한 년도 + 9년(예비군8년) = 민방위 1년차
민방위 연차 조회에 따라 훈련 시간도 다른데 1~4년차인 경우 연 4시간(1회) 교육을 받고,
5년차 이상~40세까지는 연 1시간(1회) 비상소집훈련을 받습니다.
민방위 훈련일자 확인은 포털사이트에서 "민방위"를 입력하고 공식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보통 비상소집통지서는 주민등록지가 아닌 현재 거주하는 지역에서도 받을 수 있는데요,
거주지 지역의 교육일정을 검색하고 관할 민방위 담당자에게 연락하고 신분증을 지참해서 참석하면 됩니다.
민방위 홈페이지 상단에 있는 "민방위"에 마우스 커서를 대고
교육,훈련 항목에 있는 "교육일정"을 클릭합니다.
이곳에서 본인이 훈련을 받을 지역을 선택하고 검색기간을 설정합니다.
교육구분에서 민방위를 선택하고 "검색" 메뉴를 클릭하면 민방위 훈련일자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민방위 훈련에 불참 할 경우 과태료를 물을 수 있는데 10만원입니다.
이것으로 민방위 연차 조회와 민방위 훈련일자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어짜피 받아야 하는 훈련 그냥 맘편하게 쉬고 온다 생각하고 다녀오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