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유용한 엑셀 새창으로 열기 적용 방법!
엑셀로 작성된 문서를 불러와서 비교를 할때 새창으로 띄워야 할때가 있죠.
엑셀내 옵션에서 분리할 수 있지만 매번 적용하기 귀찮기 때문에
따로 엑셀창이 열리게 설정하는게 작업을 할때 더 편합니다.
오늘은 엑셀 새창으로 열기 적용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엑셀 새창으로 열기를 적용하는 방법은 엑셀파일을 띄운 후,
바탕화면 작업표시줄에 있는 엑셀아이콘을 shift키와 같이 눌러주면 됩니다.
이 방법은 소수의 엑셀 파일을 단순 비교할때 좋지만 다수의 파일을 열어야 할때는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별도로 설정을 해주면 엑셀을 실행할때마다 새창으로 열 수 있습니다.
키보드 단축키 "윈도우로고+R" 키를 누른 후 regedit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그러면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이 열리는데 다음의 경로로 이동합니다.
컴퓨터▶HKEY_CLASSES_ROOT▶Excel.Sheet.12\shell▶Open▶ddeexec
다음으로 ddeexec 폴더에 마우스 우클릭을 한 후 "삭제(D)"를 클릭합니다.
다음으로 command 폴더를 누르고 우측에 있는 파일 목록에서
command 항목에 마우스 우클릭 "삭제(D)"를 클릭합니다.
다음으로 "기본값" 항목에 마우스 우클릭 "수정(M)"을 클릭합니다.
문자열 편집 창이 열리면 값 데이터(V) 부분에 있는 맨 끝에 있는 /dde를 지웁니다.
지운 다음에 /en "%1"을 입력해주고 확인을 누릅니다.
위와 같이 설정을 변경해주면 엑셀을 실행할때마다 새창으로 열리게 됩니다.
혹시라도 잘못 입력해서 다시 되돌리고 싶다면 첨부한 파일을 실행해주면
원래 상태의 레지스트리로 다시 복구할 수 있으니 적용할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엑셀 새창으로 열기 적용 방법을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